로봇 코딩을 해야 할까, 레고 코딩을 해야 할까? 어떤 코딩 교육 도구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코딩 학교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코딩학원마다 프로그램이 달라서 어떤 학원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많은 사람들이 상담을 위해 학원에 전화를 합니다.
많은 엄마들이 “사실 다른 학원에도 문의했어요. 학원 A는 로봇 코딩을 해야 한다고 했고, 학원 B는 녹화 코딩을 해야 한다고 했어요. 하지만 비용이 너무 비싸요.”라고 말합니다.
어떤 센서 키트를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코딩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선택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제가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코딩 학원을 운영하면서 느낀 개인적인 의견은 이런 것들은 상업주의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2018년부터 코딩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코딩을 통해 교육을 제공하는 회사들이 많이 생겨났습니다.
다양한 센서 회사, 다양한 교육 회사 등은 자연스럽게 코딩을 더 재밌게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코딩 교재를 많이 개발할 것입니다.
개발된 코딩 교재의 판매 실적이 늘어나고 코딩 교육 커리큘럼이 늘어나면 그게 그런 회사들의 이익이 되니까 “로봇을 해야지”, “레고를 해야지” 하는 학원들이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저희 학원도 그런 교재를 사용해서 코딩을 하지만 학생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교재를 판매하지도 않습니다.
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재를 학생들에게 사용하도록 요청합니다.

교육부는 당초 코딩교육의 단계를 블록코딩, 피지컬코딩, 언어코딩으로 구성했다.
이는 블록코딩을 통해 자연스럽게 조건문, 루프문, 리스트를 읽고 자연스럽게 알고리즘을 느끼게 하기 위한 것이다.
나 역시 처음에 코딩교육을 하려고 많은 계획을 세웠던 사람 중 한 명이고, 왜 이렇게 계획을 세워서 아이들에게 적용해야 하는지 많이 고민했다.
블록코딩, 피지컬코딩, 파이썬이나 C와 같은 언어코딩을 직접 해보고 나니, 블록코딩의 목적은 초·중학생들에게 블록코딩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상과 상상한 내용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능력을 기르고, 알고리즘에 따라 조건문과 반복문을 만드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피지컬컴퓨팅을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축적된 코딩 기술을 바탕으로 피지컬코딩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와 인공지능의 원리를 학습하고, 일상생활 속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창의적 사고의 기본 틀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분의 기술, 상상력, 기획, 실행력이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언어 코딩과 코드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블록 코딩에 익숙해서 언어 코딩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대신, 이 블록 코딩이 언어 코딩의 이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고, 코딩이 쉽고 여러분의 기술이 쉽게 쌓이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코딩 교육이 왜 필요한지 묻는다면,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이 질문을 하고, 저는 이런 것들이 쌓여서 생각하는 힘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아이들이 불편함조차 느끼지 못하고, 편리한 삶만 살기 때문에, 무엇이 자신에게 불편한지 생각할 시간이 없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런 아이들이 이렇게 자라면, 생각하고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부족해서 모든 것을 포기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에게 적당한 불편함을 주고, 자신을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하게 한다면, 미래를 제대로 설계할 수 있는 건강한 생각을 가진 아이들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