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과 건폐율의 의미를 확인해보세요

용적률과 건폐율의 의미를 확인해보세요

주거공간을 선택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용적률, 건폐율입니다.
이는 시장에서 기본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일 수밖에 없고 쉽게 혼동될 수 있다.
이 숫자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억하신다면, 앞으로 살고 싶은 집을 선택할 때 얼마나 편안함을 느낄지, 앞으로 얼마나 가치를 느낄지 가늠할 수 있도록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용적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면적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대지면적은 수평투영면적을 말하는데, 이는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의 크기를 말한다.
건축면적이란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하늘에서 바라볼 때 넓은 바닥면적을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1층 바닥면적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바닥 저깅은 건물 내부의 모든 층 크기를 합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3층짜리 건물을 짓고 각 층의 면적이 300㎡라면 전체 면적은 900㎡가 된다.
면적을 이해하면 용적률과 건폐율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건폐율은 건축물의 밀도를 말하며, 대지면적에 비해 건축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나타내는 비율이다.

대지면적 100㎡, 건축면적 50㎡의 경우 건폐율은 60%이다.
현재 정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용도지역별로 용도지역을 제한하고 있다.
그 이유는 토지에 여유공간을 남겨두는 것만으로도 도시의 과밀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햇빛과 환기, 채광이 가능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유사시 원활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같은 대지라도 건폐율이 높으면 더 큰 건물을 지을 수 있다.
용적률은 건물을 얼마나 높이 지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총 바닥면적의 비율을 기준으로 용적률을 계산합니다.
건물의 층수에 건폐율을 곱하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지 면적이 100㎡이고 층별 면적이 50㎡라면 4층 건물이다.
건폐율 50%에 층수 4를 곱하면 200%가 됩니다.
이 200%가 용적률입니다.
여기에도 도시의 교통, 환경, 일조량 유지를 위해 규제가 적용되는데, 규제가 높을수록 건물을 더 높게 지을 수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지하층이나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지상층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용적률 계산 시 이러한 면적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헷갈리기 쉬우나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