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용어와 건설 용어의 차이점을 알아보세요.

개발자 용어와 건설 용어의 차이점을 알아보세요.

부동산 용어 중에는 발음이나 함의가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이는 단어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구매자, 판매자, 세입자, 집주인 등 한국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 용어가 있습니다.
오늘은 아파트 매매광고에 늘 등장하며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개발사, 건설사의 개념과 역할, 그리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개발업자, 건설회사 중 전자는 해당 부동산의 개발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말하며, LH, SH, 재건축조합, 토지소유자, 부동산개발회사 등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책임이 워낙 다양하다 보니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자금 조달, 토지 매입, 각종 인허가 취득은 물론 매각 공고, 계약 공고, 입주 공고, 후속 조치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자관리까지.

과거에는 대형 건설사가 이러한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과도한 부채비율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공사와 시행을 분리하는 일이 일반화됐다.
최근에는 협동조합이나 지주 등 사업주로부터 일정 수수료를 받고 마케팅 활동만을 전담하는 대행사가 등장하고 있어, 지원 시 역량과 재정 능력을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두 번째 유형의 시공사 또는 건설회사는 건물을 실제로 짓는 회사를 말하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포스코, 현대건설, GS건설 등이 포함됩니다.
건축면허를 보유하고, 사업자로부터 수주를 받으며, 건축설계, 토목공사 등을 담당하며, 대개 다른 업무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자체 브랜드로 전반적인 과정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누가 만들었고 어떤 회사에서 관리하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이 두 개체 중 어느 개체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 질문에 명확하게 대답하기는 어렵지만 두 결론 모두 중요합니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젝트라면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찾는 것이 더 안전할 것입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 등 각종 문제를 고려할 때 건설사의 역량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입지 못지않게 브랜드 프리미엄이 주목받는 요즘, 어떤 건설사가 참여하느냐에 따라 청약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능한 개발자와 건설사를 선정하고 서로 협력할 때 더욱 빨리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대기업보다는 안정적인 자금력과 탄탄한 기술력을 갖춘 회사를 찾으신다면 정말 좋은 집을 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